본문 바로가기
note2.weolcheon-notes 금융 | 부동산 | 복지

2025 청년도약계좌 | 바뀐 내용 6가지 확인하세요

by 부를이끄는자 2025. 3. 18.

2025년 청년도약계좌에 관해서 바뀐 내용이 있어서 정리했습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2025 청년도약계좌 ❘ 바뀐 내용 6가지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란

간단히 정의를 하자면, 내가 돈을 매달 넣습니다. 매달 넣는데 이자랑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 붙습니다. 매달 얼마씩 금액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정부 지원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혜택

01. 정부 기여금 확대

정부 기여금이 확대가 됐습니다. 기존 청년 도약계좌 같은 경우에는 연소득 2,400만원 이하를 예로 들자면, 월 24,000원까지 지원을 해줬습니다. 그런데 최대금액이 33,000원으로 늘어난 것입니다. 그리고 납입금액의 한도도 바꼈습니다.

 

기존에는 소득 2,400만원 이하는 월 40만원까지 그리고 3,600만원 이하는 50만원까지, 그리고 4,800만원 이하는 60만원까지만 넣을수 있고, 차등적으로 지원금을 지원했었습니다. 기여금 한도가 40만원까지만 해 주니, 그 이상 70만원까지 넣고 싶다고 해도 40만원까지만 지원해 주고 30만원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었는데, 이제는 일괄 70만원까지 넣으면, 무조건 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출처 금융위원회

 

2025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확대
연소득 월 입금액 정부기여금
연 2,400만원 이하 70만원씩 입금 월24,000원>월33,000원상승 (37.5%)
만기시(5년간 납입가정) 5,000만원정도 가져갈수 있음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링크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02. 중도해지 혜택

중도 해지시 혜택을 제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원래는 중도해지를 했을 때는 세금을 내야 된다라는 조항 때문에 청년도약계좌는 비추천하는 것 중 하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중도해지를 해도 비과세 혜택을 주고 정부가 돈을 줍니다. 기여금 중에서도 일부 60% 정도는 지원을 해주고, 7.6% 정도는 가져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결론은 중도해지를 해도 혜택이 있다는 것입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혜택
3년 가입 연3.8~연4.5% (은행별로 차등)
  비과세 혜택 + 기여금 유지(최대 7.6%)

 

본인이 끝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혹시 어떻게 될지 모르니, 조금 부담스럽다고 하셨던 분들은 우선 3년까지는

3년 만기적금이라고 생각하고 유지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3년이 넘어가면 일반 적금에 준하는 아니면 그 이상의 이율을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청년 도약계좌를 가입을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를 해 주고, 기여금도 다 유지를 해 줍니다.

03. 부분 인출 허용

부분 인출이 허용이 됩니다. 대신 이건 2025 초반, 현재의 시점은 아닙니다. 하반기 이후에 가능하다고 합니다.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사람에 한해서 본인이 넣은 금액의 40%까지, 부분 인출을 허용하도록 진행을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부분인출허용
하반기부터 실시 (2년 이상 가입유지한 경우) 납입한 금액의 40%까지 부분인출 가능 

04. 신용점수 가점

개인신용평가점수가 가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2년 이상 누적 800만원 이상 납입을 할 경우 개인신용평가점수가 5점에서 10점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 점수가 5점~10점 늘어난다고 해서 뭐가 달라질지 크게 와 닿지 않으실겁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신용 점수 평가를 할 때 0점부터 1000점까지 평가를 합니다. 2,30대 같은 경우는 평균적으로 880점 정도가 됩니다.

 

주택 담부 대출을 5억 받은 경우, 800점대 후반 구간일 때는 1금융권에서 4.65% 정도의 대출 금리를 받을수 있습니다. 그런데 신용 점수가 10점 늘어나서 4.5% 정도의 대출금리로 갈아타는데, 대략 0.1% 밖에 안 되니 별로 차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30년 만기 주택 담부 대출을 한다고 하면, 860만원 정도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신용점수 10점이 이 정도의 금액차이가 있다니, 이제 마음에 와닿지 않으신가요?

 

결론은 만기를 채우면 주택 구입 정책자금 대출시 0.1% 금리 우대 혜택도 있습니다. 그래서 중간에 꼭 해지해야 될 상황이 있는게 아니라면 유지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자동이체를 해놓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신용점수 가점
2년이상 누적 800만원 이상 납입한 경우 신용점수 5점~10점가점
예) 5년 납입 (800만원 달성) > 월 13만3000원 납입
만기를 채운 경우 주택 구입 정책자금 대출시 0.1% 금리우대혜택

05. 주택청약연계

주거혜택이 추가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금의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 일시 납입 허용, 이후 청약통장을 통한 청년 주택드림 대출 연계로 주택 자금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청년이시라면 꼭 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06. 투자형 상품 추가

적금은 솔직히 이율이 너무 높지 않아서 투자형 상품이 더 좋다고 하는 분들이 요즘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융 투자 상품도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검토를 해 본다라고 합니다. 적금형과 투자형식으로 나눠서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하반기에 구체적으로 정해진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